5월 2주차 미국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현재 22년 기준에 맞춘 ETF 를 참고하여 배당주 및 기술주 종목관리를 하고 있다.
ETF 는 매월 종목발굴 실적에 따라 변동된다.
이 글은 배당주 종목선정과 주간관리계획이다.
5월 참고 ETF: DVY, PEY, HDV, FDL, DIV
5월 2주차 배당주 종목관리계획을 세웠다.
종목 관리계획은 추가 혹은 신규 매수, 지속보유, 매도 3가지로 각각 O, -, X 로 표기하고 있다.
관리방식은 전과 같이 매수(O), 보유(-), 매도(-) 세가지 부분으로 분류해 각 종목별로 주간 관리계획을 짜본다.
관리계획 점수결과의 근거는 마지막에 기재했다.

2주차 매수대상은 MRK, BEN, UNM, CSCO, PFE 종목을 매수대상으로 선정했다.
IP 을 제외하고 모두 현재 보유중인 종목들이다. 계속해서 매도대상으로 분류되고 있는 T 는 부채비율, 유동비율, 배당성장 지표가 매우 안좋아 자주 매도대상으로 선정되지만 매도조건인 -1% 수익률에 한참 미치지 못하므로 매도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어쩔수없이 계속 보유만하고 있는 중이다.
XOM 도 매도대상이 되었는데 이 종목은 현재 수익률이 +2% 내외로 매도가능하다. 따라서 매도주문을 하겠지만 현재 에너지 가격이 상승세이므로 당일 주가가 하락세일때 서둘러서 매도하지 않도록 한다.
위와 같은 관리결과의 과정인 신규매수 종목과 기존 보유종목 점검과정을 기록한다.
먼저, 현재 참고하는 ETF를 통해 선정한 신규매수 후보 종목은 다음과 같았다.

이번 신규매수 후보 종목은 IP, UNM, TDS 3종목이었다.
이 중 IP, TDS 는 최종 매수대상은 커녕 오히려 매도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렇듯 신규매수 후보라고 모두가 반드시 매수대상이 되지는 않는다. 그저 일정한 기준을 충족한 매수후보일 뿐이고 최종 관리계획에서 실제 매수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한편 유일하게 최종적인 매수종목이 된 UNM 은 이전에 수차례 매매를 반복, 수익을 준 종목이다.
현재 신규매수 후보 종목으로 선정되기 위한 기본조건은 다음과 같다.
기준: PER 50 이하, 부채비율 100% 이하, 유동비율 100% 이상, 배당률 3% 이상, 연속배당 10년이상, payout ratio 100% 이하, ROE +, 5년 평균 배당성장 +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 종가기준 보유 종목과 이에 대한 점검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점검의 목적은 보유종목의 추가매수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추가매수 조건에 미달하는 종목은 매수금지라고 표기하며 종목명과 티커에 노란색을 칠해 엑셀수식에서 매수대상에서 제외하도록 한다. 이번 평가에서는 ORI, T 가 추가매수하지 않는 종목으로 나타났다.
점검목적이 5월 2주차 투자를 위한 기존 보유종목 점검이므로 5월 2주 기준이라고 적었다.
말하자면 이전 주차 마지막 거래일 기준으로 보유중인 종목들을 이번에 추가매수할지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다.
기존 보유종목의 추가매수 조건은 신규매수 기준과 거의 동일한데 약간 차이가 있다.
추가매수 기준: PER 50 이하, 배당률 3% 이상, 연속배당기간 10년 이상, payout ratio 100% 이하, ROE +
부채비율 120% 이하, 유동비율 80%(0.8) 이상, 5년 평균 배당성장 +
위와 같이 신규매수 후보 종목 선정과 보유종목 점검을 마쳤다면 이들을 한 데 모아 종목관리 계획을 설정한다.
각각 매수, 보유, 매도로 종목별로 어떻게 처리할 지 계획을 짜는 것이다.

앞의 신규매수 후보 선정, 보유종목 점검 과정을 거쳐 최종 관리계획을 위와 같이 나타냈다.
맨 위 사진결과의 근거자료인 셈이다. 신규매수 후보와 보유종목을 한 곳에 모아 per 부터 유동비율까지 모두 비교해 순위를 매긴다. 그리고 이를 점수로 환산해 총점을 매겨 매수, 매도, 보유 종목을 결정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