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4주차 배당주 종목관리계획을 세워본다.
현재 매달마다 참고하는 ETF 들을 점검하고 변경하고 있다. 배당률, 투자지역 등 기준에 부합하는 배당주 ETF 중 3달 평균 거래량 순으로 높은 5개 ETF 를 이달의 ETF 로 선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10월 참고할 ETF는 다음과 같다.
참고 ETF: SPYD, SPHD, HDV, FDL, DVY
(9월과 동일)
종목 관리계획은 추가 혹은 신규 매수, 지속보유, 매도 3가지로 각각 O, -, X 로 표기하고 있다.
관리방식은 전과 같이 매수(O), 보유(-), 매도(-) 세가지 부분으로 분류해 각 종목별로 주간 관리계획을 짜본다.
관리계획 점수결과의 근거는 마지막에 기재했다.
종목 관리계획은 추가 혹은 신규 매수, 지속보유, 매도 3가지로 각각 O, -, X 로 표기하고 있다.
관리방식은 전과 같이 매수(O), 보유(-), 매도(-) 세가지 부분으로 분류해 각 종목별로 주간 관리계획을 짜본다.
관리계획 점수결과의 근거는 마지막에 기재했다.

이번 매수 종목으로는 ORI, PFG, BEN, CSCO, BX, PFE 을 매수대상으로 선정했다.
BX 가 신규 매수종목이 되었다.
매도대상은 T 가 선정되었다. 이 역시 전주와 동일한데 해당 종목은 현재 -40% 를 넘길 정도로 굉장히 미실현수익률이 낮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보유수량도 적다는 것인데 어쨌든 매도 최소기준인 -2% 에 한참 요원한 수준이다.
위와 같은 관리결과의 과정인 신규매수 종목과 기존 보유종목 점검과정을 기록한다.
현재 참고하는 ETF를 통해 선정한 10월 3주차 신규매수 후보 종목은 다음과 같았다.

BX 가 신규매수 후보 종목이 되었다.
해당 종목은 계속해서 현재 보유 중인 추가매수대상 종목이었는데 지난주 익절완료하면서 이번에는 신규매수 후보 종목이 되었다.
현재 신규매수 후보 종목으로 선정되기 위한 기본조건은 다음과 같다.
기준: PER 50 이하, 부채비율 100% 이하, 유동비율 100% 이상, 배당률 3% 이상, 연속배당 10년이상, payout ratio 100% 이하, ROE +,5년 평균 배당상승률 +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 종가기준 보유 종목과 이에 대한 점검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보유종목 추가매수 조건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 기준이 완화된 것을 제외하고 신규매수 조건과 같다.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을 둘 중 하나만 충족해도 추가매수가능하다. 현재 모든 종목이 추가매수 조건에 부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추가매수 조건에 미달하는 종목은 매수금지라고 표기하며 종목명과 티커에 노란색을 칠해 엑셀수식에서 매수대상에서 제외하도록 한다. 이번에는 이런 종목이 나타나지 않았다.
ETF 지표는 ETF보정 이라는 이름으로 점수를 산정한다. 매번 ETF 들이 보유하고 있는 종목들 중 신규매수종목을 평가하므로 자연히 신규매수종목은 기본 1을 깔고 가는 반면, 몇주째 보유하고 있는 종목은 0인 경우가 많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보유종목의 추가매수에서 ETF 점수를 좀 높여주기 위해 ETF 보정 이라는 이름으로 ETF 점수를 부여하기로 했다.
일례로 본래 CSCO 종목은 10월 참고 ETF 중 보유하고 있는 것이 2개로 2점으로 보이지만 이를 다른 보유종목들과 비교하여 점수로 매겼을 때 5점이 된다. 현재 보유중인 총 6개의 종목들과 비교했을 때 PFG 와 함께 ETF 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가장 많은 것이 PFG, CSCO 2개이기 때문에 공동1위인 CSCO 는 5점이 되었다.
점검목적이 10월 4주차 투자를 위한 기존 보유종목 점검이므로 10월 4주 기준이라고 적었다.
말하자면 이전 주차 마지막 거래일 기준으로 보유중인 종목들을 이번에 추가매수할지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다.
기존 보유종목의 추가매수 조건은 신규매수 기준과 비슷하나 약간의 차이가 있다.
추가매수 기준: PER 50 이하, 배당률 3% 이상, payout ratio 100% 이하, ROE +, 5년 평균 배당상승률 +
, 둘 중 하나이상 충족(부채비율 120% 이하, 유동비율 80%(0.8) 이상)
위와 같이 신규매수 후보 종목 선정과 보유종목 점검을 마쳤다면 이들을 한 데 모아 종목관리 계획을 설정한다.
각각 매수, 보유, 매도로 종목별로 어떻게 처리할 지 계획을 짜는 것이다.

앞의 신규매수 후보 선정, 보유종목 점검 과정을 거쳐 최종 관리계획을 위와 같이 나타냈다.
맨 위 사진결과의 근거자료인 셈이다. 신규매수 후보와 보유종목을 한 곳에 모아 per 부터 유동비율까지 모두 비교해 순위를 매긴다. 그리고 이를 점수로 환산해 총점을 매겨 매수, 매도, 보유 종목을 결정한 것이다.
10월에는 8, 9 월에 이어 ETF 수 지표를 단순히 해당 종목을 보유한 ETF 갯수가 아니라 각 집단군(신규매수, 보유주식)에서의 상대적인 점수로 환산하고 있다. 보유중인 종목은 시간이 갈수록 신규종목에 비해 ETF 점수가 극히 낮을 수 밖에 없기에 보유중인 종목과 신규종목을 각자의 집단 내에서 상대적인 점수를 받도록 하고있다.
앞으로도 보다 나은 합리적인 종목평가 방법을 연구해서 수익률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본다.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10월 주식매매 결산(공모주, 주식매매수익 합산): 숫자는 개선되었지만 미래는 더 어두워진 시장 (0) | 2022.11.01 |
---|---|
10월 4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0) | 2022.10.26 |
10월 3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0) | 2022.10.18 |
10월 3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1) | 2022.10.18 |
10월 2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0) | 2022.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