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투자이야기

(177)
4월 4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4월 4주차 기술성장주 종목관리에 대해 얘기해본다. 현재 기술성장주에 대해 각 테마별 ETF 에 따라 해당 ETF 의 보유종목을 바탕으로 매수대상 종목을 선정하고 있다. 매도에 있어서는 보유종목의 미실현수익률 5% 이상시 혹은 주차별 종목관리계획에서 선정된 매도종목의 미실현수익률 -2% 이상시 매도로 진행하고 있다. ​ ​ 매수종목 선정은 종목평가 점수에 기초하며, 주차별 배당주 최종매수대상과 겹치지 않는 선에서 만점의 70% 이상인 종목이 선정된다. 만점은 평가지표의 수(8개) X 종목수 로 한다. 예를들어 기본 매수조건 이상인 종목이 3개 라면 만점은 8X3=24 점이 되며 만점의 70%( 24X0.7) 이상인 종목만이 최종 매수대상이 된다. 여기에 테마별 기존 보유종목을 추가해 매수종목 선정에 활용..
4월 4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4월 4차 배당주 종목관리계획을 세워본다. 거래기간: 4/24 ~ 4/28 ​ ​배당률, 투자지역, 거래량 등 여러 요건을 고려해 배당주 ETF 5개를 이달의 ETF 로 선정했다. 23년 4월 참고할 ETF는 다음과 같다. ​ 참고 ETF: HDV, DIV, SPYD, PEY, SPHD ​ 종목 관리계획은 추가 혹은 신규 매수, 지속보유, 매도 3가지로 각각 O, -, X 로 표기하고 있다. 관리방식은 전과 같이 매수(O), 보유(-), 매도(-) 세가지 부분으로 분류해 각 종목별로 주간 관리계획을 짜본다. 관리계획 점수결과의 근거는 마지막에 기재했다. 지난주와 동일한 결과였다. 이번 매수 종목으로는 IP, FNF 을 매수대상으로 선정했다. 매도대상 종목은 T, KRO 2종목이다. T, KRO 모두 현재..
4월 3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4월 3주차 기술성장주 종목관리에 대해 얘기해본다. 현재 기술성장주에 대해 각 테마별 ETF 에 따라 해당 ETF 의 보유종목을 바탕으로 매수대상 종목을 선정하고 있다. 매도에 있어서는 보유종목의 미실현수익률 5% 이상시 혹은 주차별 종목관리계획에서 선정된 매도종목의 미실현수익률 -2% 이상시 매도로 진행하고 있다. ​ ​ 매수종목 선정은 종목평가 점수에 기초하며, 주차별 배당주 최종매수대상과 겹치지 않는 선에서 만점의 70% 이상인 종목이 선정된다. 만점은 평가지표의 수(8개) X 종목수 로 한다. 예를들어 기본 매수조건 이상인 종목이 3개 라면 만점은 8X3=24 점이 되며 만점의 70%( 24X0.7) 이상인 종목만이 최종 매수대상이 된다. 여기에 테마별 기존 보유종목을 추가해 매수종목 선정에 활용..
4월 3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4월 3차 배당주 종목관리계획을 세워본다. 거래기간: 4/17 ~ 4/21 ​ ​배당률, 투자지역, 거래량 등 여러 요건을 고려해 배당주 ETF 5개를 이달의 ETF 로 선정했다. 23년 4월 참고할 ETF는 다음과 같다. ​ 참고 ETF: HDV, DIV, SPYD, PEY, SPHD ​ 종목 관리계획은 추가 혹은 신규 매수, 지속보유, 매도 3가지로 각각 O, -, X 로 표기하고 있다. 관리방식은 전과 같이 매수(O), 보유(-), 매도(-) 세가지 부분으로 분류해 각 종목별로 주간 관리계획을 짜본다. 관리계획 점수결과의 근거는 마지막에 기재했다. 이번 매수 종목으로는 IP, FNF 을 매수대상으로 선정했다. 매도대상 종목은 T, KRO 2종목이다. 지난주와 완전히 동일하다. T 는 미실현수익률이 ..
4월 2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4월 2차 배당주 종목관리계획을 세워본다. 거래기간: 4/10 ~ 4/14 ​ ​배당률, 투자지역, 거래량 등 여러 요건을 고려해 배당주 ETF 5개를 이달의 ETF 로 선정했다. 23년 4월 참고할 ETF는 다음과 같다. ​ 참고 ETF: HDV, DIV, SPYD, PEY, SPHD ​ 종목 관리계획은 추가 혹은 신규 매수, 지속보유, 매도 3가지로 각각 O, -, X 로 표기하고 있다. 관리방식은 전과 같이 매수(O), 보유(-), 매도(-) 세가지 부분으로 분류해 각 종목별로 주간 관리계획을 짜본다. 관리계획 점수결과의 근거는 마지막에 기재했다. 이번 매수 종목으로는 IP, FNF, BEN 을 매수대상으로 선정했다. 매도대상 종목은 T, KRO 2종목이다. 이 중 T 는 미실현수익률이 매도가능 기..
4월 2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4월 2주차 기술성장주 종목관리에 대해 얘기해본다. 현재 기술성장주에 대해 각 테마별 ETF 에 따라 해당 ETF 의 보유종목을 바탕으로 매수대상 종목을 선정하고 있다. 매도에 있어서는 보유종목의 미실현수익률 5% 이상시 혹은 주차별 종목관리계획에서 선정된 매도종목의 미실현수익률 -2% 이상시 매도로 진행하고 있다. ​ ​ 매수종목 선정은 종목평가 점수에 기초하며, 주차별 배당주 최종매수대상과 겹치지 않는 선에서 만점의 70% 이상인 종목이 선정된다. 만점은 평가지표의 수(8개) X 종목수 로 한다. 예를들어 기본 매수조건 이상인 종목이 3개 라면 만점은 8X3=24 점이 되며 만점의 70%( 24X0.7) 이상인 종목만이 최종 매수대상이 된다. 여기에 테마별 기존 보유종목을 추가해 매수종목 선정에 활용..
23년 3월 주식매매 결산(공모주, 주식매매수익 합산): 임박한 경기침체, 현금화의 마지막 기회를 잡자 23년 3월 국내주식 투자수익률은 +65%로 나타났다. 지난 2월과 마찬가지로 일반주식 매매는 단 1건이고 액수도 무척 작아 대부분 공모주 수익이었다. 일반주식 매매수익이 5천원도 안되니 대부분 공모주 수익이다. ​ 3월 중반이후 SVB, CS 등 은행들의 붕괴와 경기침체 전망이 굳어지면서 곧 큰거온다 하는 경계심리가 커졌다. 모처럼 훈풍이었던 공모주 시장은 금새 쪼그라들었고, 당연히 나의 매도목표도 낮추면서 수익률은 줄어들었다. 공모주 수익률이 70%도 안되는 것은 이제는 50%만 넘어도 훌륭한 수익률이라면서 매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소수이긴 하지만 5%라도 수익이 나오는 상장 후 6개월이 넘어간 공모주들은 족족 팔고있다. 4월에도 정말 큰거온다고 하는 그날까지 계속 매도할 계획이다. 이번에는 ..
4월 1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23년 4월 기술성장주 ETF를 선정했다. ​ 기술성장주 종목관리 방식은 대부분 지난 3월과 동일하다. 달라진 점은 투자 카테고리에서 인프라+유틸리티와 사이버보안 추가했다. 농식품, 에너지, 친환경 3개 카테고리와 함께 이 두 카테고리 중 매수후보 종목이 3개 이상인 카테고리 1개까지 매주 총 4개 카테고리를 매매할 계획이다. 이 외에는 지난 3월과 동일하다. ETF 는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선정했다. 미국발 금리인상과 경기침체가 예상됨에 따라 카테고리 수는 지금처럼 4개 카테고리 그대로 가기로 했다. 다만 지난 3월 인프라+유틸리티 카테고리에서 매수후보가 단 2개 이하인 경우가 나타났다. 이렇게 2종목만 경합할 경우 양질의 종목을 발굴하기 어렵다고 보아 3종목 이상 매수후보종목들이 경합을 나타낼 때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