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 후 품질관리(선별, 예냉, 포장)
선별
선별기: 스프링식 중량선별기(사과, 배, 토마토 기계식 선별로 중량 오차 큼)
전자식 중량선별기(사과, 배, 토마토 정밀선세로 중량 오차 작음)
드럼식 중량선별기(감귤, 방울토마토, 매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
예냉
예냉효과: 수확 후 바로 원예생산물의 품온을 내려서 품질변화를 방지
예냉방식-차압통풍식: 강제대류, 공기압력차 이용, 냉각능력 증대 가능, 냉각편차 단점
-진공예냉식: 증발잠열, 엽채류효과 높음, 예냉방식 중 냉각속도 가장 빠름
예냉효과 큰 품목: 사과, 포도, 오이, 딸기
저장적온- 0~2: 사과, 배, 복숭아, 포도
- 7~13: 바나나, 오이, 가지, 수박; 주로 여름수확 작물이다
예건
예건대상품목: 마늘, 양파, 단감, 배
맹아억제: 양파, 마늘, 감자 등에서 맹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NAA, MH 사용
큐어링: 감자, 고구마, 마늘, 양파 상처부위를 아물게하도록 코르크층을 형성
코르크층->큐어링
포장
포장재료: 가스투과도 LDPE>PS>PP>PVC>PET 순으로
LDPE 가스투과도 높고 PET 가 낮다.
기능성포장재: 방담필름-계면활성제, 결로현상 방지
키토산필름-유해균억지
MA포장: 필름 CO2 투과도가 O2 보다 높다.
CO2-O2 농도조절가능
포장효과: 에틸렌감소, 병충해억제, 과실의 숙성 노화 지연
수확 후 장해
저장장해: CA 저장 장해-흑색심부(감자), 갈색반점(상추), 이취(혐기호흡)
온도장해: 동해(사과 수침, 세포조직 결빙)
냉해(토마토 고추 함몰, 생육적온보다 낮은 온도에 장기간 저장)
고온장해(배 껍질덴병)
품목 별 장해: 사과(내부갈변), 배(과심갈변), 단감(과육갈변), 배 단감(과피흑변)
밀병(꿀사과, 솔비톨), 고두병(사과 칼슘결핍)
안전성
위험요소: 옥수수, 땅콩, 쌀, 보리(아플라톡신)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