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4주차 기술성장주 종목선정을 얘기한다.
기술성장주에 대해서는 각 테마별 ETF 에 따라 해당 ETF 의 보유종목을 바탕으로 매수대상 종목을 선정하고 있다. 매수와 매도 모두 배당주와 같은 방식으로 행하고 있다. 일정한 기준에 맞는 매수와 매도를 진행한다.
미실현수익률 6.5% 이상 여부에 상관없이 만점의 50% 이하인 종목은 미실현수익률 -1% 이상일 경우 즉시 매도하도록 한다.
매수종목 선정은 전과 같이 종목평가 점수에 기초하며, 만점의 70% 이상인 종목이 선정된다. 만점은 평가지표의 수(6개) X 종목수 로 한다. 예를들어 기본조건이상인 종목이 3개 라면 만점은 6X3=18 점이 되며 만점의 70%( 18X0.7=12.6) 이상인 종목만이 최종 매수대상이 된다. 그리고 여기에 테마별 기존 보유종목을 추가해 매수종목 선정에 활용한다. 또한 만점의 50%(18X0.5=9) 미만인 종목은 미실현수익률 -1% 이상일경우 즉시 매도하기로 결정했다. 매수/매도 대상이 아니면서 현재 계좌에 보유중인 종목들은 자동으로 지속 보유종목이 된다.
22년 3월 참고할 테마별 ETF 는
1) 사이버보안 - IHAK, HACK, CIBR, BUG
2) 농식품 - MOO, VEGI
3) 물+수처리 - PHO, FIW, CGW
4) 전통에너지 - XLE, XOP
5) 친환경에너지 - ICLN, TAN, QCLN, FAN
6) 헬스바이오테크 - XLV, XBI, ARKG
7) 유틸리티 - XLU, VPU, FUTY
8) 인프라 - PAVE, IGF, NFRA
이번 3월 2주차 테마별 종목선정에 대해 각각 보면 사이버보안은 2종목을 선정했다.
CSCO, CVLT 를 선정했다.

CVLT 는 사이버보안 ETF 들의 상위 보유종목에는 들어가지 않았으나 현재 계좌에 보유중이므로 다른 종목과 비교했다. CVLT 는 만점대비 70% 이상의 높은 점수로 사이버보안 테마의 매수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농식품은 역시 1종목을 선정했다.
CF 를 선정했다.

가장 높은 점수이자 유일한 70% 이상 점수를 획득하여 농식품 분야의 매수종목으로 확정했다.
ADM, TTC 은 너무 점수가 낮아(50%미만) 매도대상으로 분류했는데 현재 보유중인 것이 없다.
물+수처리 테마에서는 종목을 발굴하지 못했다.

AOS 의 Revenue 데이터가 - 으로 표기되어있어 일단 0으로 보고 점수를 산정했다. 그 결과 만점의 70% 이상으로 매수대상 기준점수에 충족하는 종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만점의 50% 미만인 종목도 없으므로 매도대상은 없었다.
전통에너지 테마에서는 2종목을 발굴했다: DVN, MGY

이란 핵협상 타결, 우크라이나 전쟁 협상진행 등으로 유가가 진정되어 관련주들도 어느정도 가격이 내려간 상황이다. 앞으로 난방수요도 줄어들고 전쟁은 종결될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이런 석유 가스 관련종목들은 앞으로 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일시적으로 협상철회나 전쟁확전, 사우디 감산(이란핵협상에 대한 불만표시) 등 단기적이나 충격이 있는 이슈로 잠깐 급등할 수는 있겠다. 이런 급등 이슈 때문에라도 앞으로도 전통에너지 관련 종목을 포트폴리오에 유지할 생각이다.
어쨌든 해당 테마에서의 매수조건에 부합하는 종목들을 경합시켰을 때 DVN, MGY 가 70 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받아 이번주의 매수종목으로 선정했다.
원자력을 제외한 친환경에너지(재생에너지) 테마에서는 2종목을 발굴했다: ON, MP

2종목은 이미 여러차례 해당 테마에서 매수대상이었다.
재생에너지는 최근 미국, EU 의 러시아발 에너지 수입금지에 따라 앞으로 투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석유와 가스가 없으면 남은것은 원자력과 재생에너지인데 원자력은 이미 늘어나고 있지만 이것이 정답은 아니며 결국은 재생에너지 채산성이 높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도록 기술발달이 이뤄져야 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반드시 재생에너지로 가야하며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테크 테마에서는 매수종목 1종목을 선정했다: EXEL

EXEL 은 기존에 매수하여 보유중인 종목이다. 보유중인 종목이 지속적으로 매수대상이 되는 것은 포트폴리오를 정리하기에 편하다. 또한 해당 종목은 가격이 저렴하기에 많은 양을 보유하게 되더라도 부담이 덜하다.
M매도종목으로는 BMY, NBIX 가 나왔는데 보유중이 아니므로 따로 행동할 것은 없다.
유틸리티(전기) 테마에서는 2종목을 발굴했다: ED, PPL

ED 는 ETF 보유종목이나 PPL 은 이에 해당하지 않고 그저 내 계좌에 보유중인 종목이다.
때문에 PPL 이 투자에 적합한지 걱정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래도 매수 기준인 per 50, 부채비율 130% 등은 충족하기에 다행이다.
인프라 테마에서는 이번주에도 종목을 발굴하지 못했다.

3월 참고 ETF 에 추가한 이후 한 개의 종목도 발굴하지 못했다. 이대로 다음주도 발굴에 실패한다면 참고 ETF 에서 바로 삭제된다. 만점대비 70% 이상인 종목이 나올듯 하면서도 계속 나오지 않았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기술성장주 테마에서도 ETF 발굴과 함께 더 나은 매수/매도 방식을 연구하려고 한다.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5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0) | 2022.03.31 |
---|---|
3월 5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0) | 2022.03.28 |
3월 4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0) | 2022.03.19 |
3월 3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0) | 2022.03.14 |
2월 기준 음원저작권 수익-계속되는 어둠 (0) | 2022.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