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투자이야기

(177)
4월 1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23년 4월 1주차 배당주 종목관리계획을 세운다. ​ 지난 3월에는 SVB, CS 은행 파산 등 굵직한 시장파괴의 메시지가 여럿 있어왔다. 이에 따라 깊어지는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연준이 미국 금리 인하 혹은 동결 할 것이라 기대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내가 알기로 지난 수십년간의 데이터로 볼 때, 금리인상에서 인하로 넘어가면 그 때가 서브파라임 등 세계경기급 위기가 발생해왔다. 만약 조만간 정말 금리인하나 동결이 나타난다면 정말 현금확보에 만전을 기해야겠다. ​ 본격적인 경기침체와 주식시장 급락이 임박한 것으로 예상한다. 최근의 주식시장 급등락은 금리인하 소문과 맞물려 마지막 데드캣이라고 생각한다. 본격적인 가격하락 직전에 보유주식의 최대 현금화를 위해 기존 보유주식의 추가매수 기준을 크게 완화한다...
3월 3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지난 3월 2주차 종목관리계획은 다른 일정으로 인해 하지 않았다. 당연히 기술성장주의 매수는 전혀 없었다. ​ 3월 3주차 기술성장주 종목관리에 대해 얘기해본다. 현재 기술성장주에 대해 각 테마별 ETF 에 따라 해당 ETF 의 보유종목을 바탕으로 매수대상 종목을 선정하고 있다. 매도에 있어서는 보유종목의 미실현수익률 5% 이상시 혹은 주차별 종목관리계획에서 선정된 매도종목의 미실현수익률 -2% 이상시 매도로 진행하고 있다. ​ ​ 매수종목 선정은 종목평가 점수에 기초하며, 최종매수대상이 된 배당주와 겹치지 않는 선에서 만점의 70% 이상인 종목이 선정된다. 만점은 평가지표의 수(8개) X 종목수 로 한다. 예를들어 기본 매수조건 이상인 종목이 3개 라면 만점은 8X3=24 점이 되며 만점의 70%( 2..
3월 3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3월 3차 배당주 종목관리계획을 세워본다. 거래기간: 3/20 ~ 3/24 ​ ​배당률, 투자지역, 거래량 등 여러 요건을 고려해 배당주 ETF 5개를 이달의 ETF 로 선정했다. 23년 3월 참고할 ETF는 다음과 같다. ​ 참고 ETF: PEY, SPHD, DIV, SPYD, RDIV ​ 종목 관리계획은 추가 혹은 신규 매수, 지속보유, 매도 3가지로 각각 O, -, X 로 표기하고 있다. 관리방식은 전과 같이 매수(O), 보유(-), 매도(-) 세가지 부분으로 분류해 각 종목별로 주간 관리계획을 짜본다. 관리계획 점수결과의 근거는 마지막에 기재했다. 이번 매수 종목으로는 EBF, IP, FNF, BEN 을 매수대상으로 선정했다. 매수 종목 중 FNF, IP, EBF 는 현재 소량 보유중이며 BEN ..
23년 2월 미국주식 투자수익 결산: 예상보다 더 폭망한 수익, 겨울이 임박했나 23년 2월 미국주식 투자 수익은 지난 1월에 비해 1/4 토막이 났다. 배당금, 매매수익 모두 대폭 감소했다. 지난 1월 오래 보유하여 금액이 컸던 종목을 매도한 덕분에 매매수익도 높았었는데 2월에는 그런 종목이 없었다. 지난 1월 반짝 수익이 나고 다시 22년 하반기 그 이하 수준으로 수익은 돌아왔다. 3월에도 큰 수익진전은 요원할 것으로 예상한다. 2월에는 기준수익률에 미달함에도 낮은 수익률에 손절매매했던 종목들이 나타났다. 수익률 1% 임에도 관리계획상 매도종목이 되서 손절한 것들인데, 이들 때문인지 매매수익은 전 달의 1/5 토막으로 극히 줄어들었다. 1월보다 안 좋을 것은 알았지만 이정도로 극심할 줄은 몰랐다. ​ 미국 금리인상 중단에 대한 기대가 있었지만 SVB 등 은행 파산과 심화하는 경기..
23년 2월 주식매매 결산(공모주, 주식매매수익 합산): 공모주 수익에 몰린 불안한 시장 23년 2월 국내주식 투자수익률은 +146%로 나타났다. 일반주식 매매는 단 1건이고 액수도 무척 작아 대부분 공모주 수익이었다. 공모주와 일반주식 수익이 28만 대 1천원이니 그냥 공모주만 매매했다고 볼 수 있다. ​ 2월들어 금리동결과 인하기대가 높아지고 실제로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동결되면서 주식시장에는 훈풍이 불었다. 한국은행의 금리동결은 많은 사람들이 예상한 바였고, 시장 영향은 금리발표 전부터 있어왔다. 하지만 2월초 미국 기준금리가 25bp 상승해 한국과 금리차이가 커졌기 때문에 사람들의 시장기대에는 우려가 컸었다. 때문에 공모주를 제외한 일반 주식들은 주가 상승하지 못했다. ​ 어쨌든 2월 신규상장한 공모주들이 잇따라 따상에 접어들면서 오랜만에 꽤 좋은 수익을 얻었다. 21년 같았으면 이런 ..
3월 2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3월 2차 배당주 종목관리계획을 세워본다. 거래기간: 3/14 ~ 3/17 ​ ​배당률, 투자지역, 거래량 등 여러 요건을 고려해 배당주 ETF 5개를 이달의 ETF 로 선정했다. 23년 3월 참고할 ETF는 다음과 같다. ​ 참고 ETF: PEY, SPHD, DIV, SPYD, RDIV ​ 종목 관리계획은 추가 혹은 신규 매수, 지속보유, 매도 3가지로 각각 O, -, X 로 표기하고 있다. 관리방식은 전과 같이 매수(O), 보유(-), 매도(-) 세가지 부분으로 분류해 각 종목별로 주간 관리계획을 짜본다. 관리계획 점수결과의 근거는 마지막에 기재했다. 이번 매수 종목으로는 EBF, IP, FNF 를 매수대상으로 선정했다. 지난주부터 매수 종목의 수가 늘어났다. 이번 매수 종목 중 IP, EBF 는 현..
3월 1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23년 3월 기술성장주 ETF를 선정했다. ​ 기술성장주 종목관리 방식은 많은 부분 2월과 동일하다. 달라진 점은 투자 카테고리에서 사이버보안을 빼고 인프라+유틸리티 를 넣었다. 그리고 카테고리 별 참고하는 ETF 들을 일부 수정했다. 이 외에는 지난 2월과 동일하다. ETF 는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선정했다. 2월에도 매수종목 배출을 하지 못한 카테고리는 없었는데, ETF 에서 신규 매수종목을 배출하지 못한 카테고리는 있었다. 사이버보안이 그랬는데 이 카테고리에서는 계속 매수종목을 배출했지만 항상 현재 보유중인 종목의 추가매수였고, ETF 에서 추천하는 종목이 선정된 적이 없었다. 한마디로 1달 내내 기존 보유중인 종목만 계속 추가매수했다는 이야기이다. 미국발 금리인상과 경기침체가 예상됨에 따라 카테..
3월 1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23년 3월 1주차 배당주 종목관리계획을 세운다. 지난 2월 미국금리인상 등 특정 이슈가 발생하지 않은 관계로 이번 3월 종목관리계획은 배당률 포함 많은 기준이 2월과 동일하다. 두가지 달라진 것이 있다. 하나는 지난 2월 신규 매수종목 관리에는 옆에 해당 종목의 출신 ETF 를 기입했는데, 이를 반영했다. 이번 3월부터는 전월 한번도 신규 매수종목을 배출하지 못한 ETF 는 다음달 매수 참고 ETF 에서 제외한다. 종목선정에 기여하지 않는 ETF 들을 골라내어 다음달에 이런 ETF 가 또 참고 ETF 로 선정되지 않기 위함이다. 이것은 작년에 사용했던 방식이기도 하다. 다만 이것은 신규 매수종목이며 최종 매수대상은 아니다. 나머지 하나는 가격기준으로, 이전에는 1주당 주가100$ 이상이면 매수하지 않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