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투자이야기

(177)
23년 2월 음원저작권 수익- 적어진 수익금, 아직 괜찮은 수익률 23년 2월 음원수익 정산이 완료되었다. ​ 음원수익 금액과 수익률은 전월에 비해 하락했다. 2월은 별로 접속도 하지 않고 소극적인 투자를 이어갔던 달이다.나는 아직 음원과 같은 이런 눈에 보이지 않는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안정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음원시장에도 500 만원 미만 소액만 투자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점점 더 금액을 줄이고 있다. 이것은 제 보유자산의 가치이고 실제 거래금액은 훨씬 적다. 이런 이유로 아주 조금만 거래금액이 늘어나도 대폭 수익이 상승 혹은 폭락하곤 한다. ​ 2월 전체 수익금은 47 천원 이었다. 이 중 저작권이 20천, 나머지 약 27천이 매매수익 이었다. 수익률로는 저작권료 포함 29%, 거래수익률은 16% 였다. 전달보다 낮아졌지만 아직 이 정도면 준수한 수익이다..
23년 1월 음원저작권 수익- 상쾌한 23년 첫 투자결과 티스토리에 놀랍게도 2월 마지막까지 1월 음원수익 관련 글을 적지 않았다. 여태 당연히 게시된 줄 알았는데 게시가 안되었다니 당황스러웠다. 23년 1월 음원수익 정산이 완료되었다. ​음원수익 금액과 수익률은 전월에 비해 대폭 상승했다. 나는 아직 음원과 같은 이런 눈에 보이지 않는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안정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음원시장에도 500 만원 미만 소액만 투자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것은 제 보유자산의 가치이고 실제 거래금액은 훨씬 적다. 이런 이유로 아주 조금만 거래금액이 늘어나도 대폭 수익이 상승 혹은 폭락하곤 한다. 이번 1월은 그 중 상승 쪽이었다. ​ 1월 전체 수익금은 100 천원 이었다. 이 중 저작권이 22천, 나머지 약 80천이 매매수익 이었다. 수익률로는 저작권료 포함..
2월 4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2월 4주차 기술성장주 종목관리에 대해 얘기해본다. 현재 기술성장주에 대해 각 테마별 ETF 에 따라 해당 ETF 의 보유종목을 바탕으로 매수대상 종목을 선정하고 있다. 매도에 있어서는 보유종목의 미실현수익률 5% 이상시 혹은 주차별 종목관리계획에서 선정된 매도종목의 미실현수익률 -2% 이상시 매도로 진행하고 있다. ​ ​ 매수종목 선정은 종목평가 점수에 기초하며, 최종매수대상이 된 배당주와 겹치지 않는 선에서 만점의 70% 이상인 종목이 선정된다. 만점은 평가지표의 수(8개) X 종목수 로 한다. 예를들어 기본 매수조건 이상인 종목이 3개 라면 만점은 8X3=24 점이 되며 만점의 70%( 24X0.7) 이상인 종목만이 최종 매수대상이 된다. 여기에 테마별 기존 보유종목을 추가해 매수종목 선정에 활용한..
2월 4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2월 4차 배당주 종목관리계획을 세워본다. 2/27~3/3 기간 중 이틀이 2월에 속하므로 3월 거래일이 속해도 2월 4주차 종목관리계획으로 한다. ​ 배당률, 투자지역, 거래량 등 여러 요건을 고려해 배당주 ETF 5개를 이달의 ETF 로 선정했다. 23년 2월 참고할 ETF는 다음과 같다. ​ 참고 ETF: DIV, SPYD, RDIV, DIVO, DHS ​ 종목 관리계획은 추가 혹은 신규 매수, 지속보유, 매도 3가지로 각각 O, -, X 로 표기하고 있다. 관리방식은 전과 같이 매수(O), 보유(-), 매도(-) 세가지 부분으로 분류해 각 종목별로 주간 관리계획을 짜본다. 관리계획 점수결과의 근거는 마지막에 기재했다. 지난주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번주에도 지난주에 이어 EBF 를 매수대상으..
2월 3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2월 3차 배당주 종목관리계획을 세워본다. ​ 배당률, 투자지역, 거래량 등 여러 요건을 고려해 배당주 ETF 5개를 이달의 ETF 로 선정했다. 23년 2월 참고할 ETF는 다음과 같다. ​ 참고 ETF: DIV, SPYD, RDIV, DIVO, DHS ​ 종목 관리계획은 추가 혹은 신규 매수, 지속보유, 매도 3가지로 각각 O, -, X 로 표기하고 있다. 관리방식은 전과 같이 매수(O), 보유(-), 매도(-) 세가지 부분으로 분류해 각 종목별로 주간 관리계획을 짜본다. 관리계획 점수결과의 근거는 마지막에 기재했다. 이번주에도 지난주에 이어 EBF 를 매수대상으로 선정했다. 매도대상은 IP 가 선정되었다. 이 종목은 현재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실상 이번주 손절 매도종목은 없다. ORI, T, C..
2월 2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2월 2주차 기술성장주 종목관리에 대해 얘기해본다. 현재 기술성장주에 대해 각 테마별 ETF 에 따라 해당 ETF 의 보유종목을 바탕으로 매수대상 종목을 선정하고 있다. 매도에 있어서는 보유종목의 미실현수익률 5% 이상시 혹은 주차별 종목관리계획에서 선정된 매도종목의 미실현수익률 -2% 이상시 매도로 진행하고 있다. ​ ​ 매수종목 선정은 종목평가 점수에 기초하며, 최종매수대상이 된 배당주와 겹치지 않는 선에서 만점의 70% 이상인 종목이 선정된다. 만점은 평가지표의 수(8개) X 종목수 로 한다. 예를들어 기본 매수조건 이상인 종목이 3개 라면 만점은 8X3=24 점이 되며 만점의 70%( 24X0.7) 이상인 종목만이 최종 매수대상이 된다. 여기에 테마별 기존 보유종목을 추가해 매수종목 선정에 활용한..
2월 2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2월 2차 배당주 종목관리계획을 세워본다. ​ 배당률, 투자지역, 거래량 등 여러 요건을 고려해 배당주 ETF 5개를 이달의 ETF 로 선정했다. 23년 2월 참고할 ETF는 다음과 같다. ​ 참고 ETF: DIV, SPYD, RDIV, DIVO, DHS ​ 종목 관리계획은 추가 혹은 신규 매수, 지속보유, 매도 3가지로 각각 O, -, X 로 표기하고 있다. 관리방식은 전과 같이 매수(O), 보유(-), 매도(-) 세가지 부분으로 분류해 각 종목별로 주간 관리계획을 짜본다. 관리계획 점수결과의 근거는 마지막에 기재했다. 이번주에는 EBF 를 매수대상으로 선정했다. 매도대상은 IP 가 선정되었다. 이 종목은 현재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실상 이번주 손절 매도종목은 없다. ORI, T, CSCO 는 매수..
23년 1월 주식매매 결산(공모주, 주식매매수익 합산): 탈출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23년 1월 국내주식 투자수익률은 +32%로 나타났다. 수익률과 수익금 모두 지난달에 비해 급증했다. 지난 12월에는 수익이 아예 마이너스 였다. 이런 기저효과도 있었지만 이보다도 내용이 좋아진 점이 다행이다. 10월 이후 처음으로 2종목 이상 매도수익이 생겼다. 공모주와 일반주식 모두 여러 종목을 매도했는데, 그 정도로 아주 추웠던 시장이 조금은 따뜻해졌다. 아쉬운 점은 1월에 매도차익을 본 공모주는 1종목을 제외하고 모두 23년 1월 상장된 종목이라는 점. 바꾸어말해 아직 22년 하반기 상장한 공모주 여러가지가 계좌에 남아있다는 이야기다. 2월 10일이 넘어가는 현재까지도 22년 상장한 신규공모주가 제법 남아있는 상황이다. ​ 일반 주식 매매는 수익금은 매우 적다. 그런데 이 정도가 최근 몇 달 사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