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 후 품질관리
수확 후 품질관리: 수확한 산물의 신선도 유지와 부패방지를 위해
예냉, 치유(감자 고구마), 예건(배추,단감,배),맹아억제MH(감자, 마늘), 아황산가스(포도)
고농도 이산화탄소(딸기 복숭아) 조치를 취하는 것
수확 후 전처리 방법: 예냉, 치유(curing, 고구마 감자에 해당), 예건(배추, 배, 단감),
화학적처리(맹아억제제-양파, 감자, 마늘, 아황산가스-포도, 칼슘-사과), 이산화탄소(딸기)
과실성숙: 산물이 외관을 갖추고 불용성 펙틴이 가용성 펙틴으로 분해됨
펙틴분해->과일연화, 전분->당, 감의 탄닌(떫은맛) 감소 발생
에틸렌 생성, 호흡급등현상(사과, 바나나 등)
-호흡급등과: 사과, 바나나, 토마토, 복숭아, 감, 키위, 망고
-비호흡급등과: 채소(고추, 가지 등), 감귤, 포도
사과의 과실성숙 판정: 전분-요오드염색법으로 과실이 요오드용액에 침지했을 때 파란색이 많이 나오면 전분이
많다 하여 미성숙이라 판단.
신선도유지: CO2 처리, CA저장
Q10:R2/R1, R2: 높은온도, R1: 낮은온도
에틸렌
역할: 과실숙성, 노화
영향:양배추-황백화, 당근-황화, 오이 수박-과피무름
에틸렌 다량발생 품목: 사과, 배, 토마토, 바나나, 복숭아
에틸렌 미량발생 품목: 포도, 딸기, 귤, 신고배, 엽근채류(상추, 당근 등)
엽근채와 에틸렌: 주변 에틸렌 영향을 받아 갈변(상추 배추), 쓴맛(당근), 황화(오이)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
-에틸렌 억제: STS(티오황산은, 환경오염물질로 유럽에서 규제), 1-MCP(대표), NBA, CA저장
-에틸렌 제거: 과망간산칼륨, 목탄, 활성탄, 오존
호흡
호흡식:

포도당+6산소 -> 6물+6이산화탄소
온도계수 Q10: 온도가 10도 오를 때 호흡의 변화에 대한 온도상수
R2/R1, R1에서 R2로 10도 오를 때의 값이다.
호흡과 온도: 식물은 온도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높을수록 호흡이 빨라진다.
식물물질
독성물질: 상추-락투시린, 감자-솔라닌, 보리-아플로톡신
색소: 토마토-라이코펜, 딸기 사과-안토시아닌, 감귤 키위-아스코르빈산(비타민C)
광합성: 엽록소(클로로필)-엽록체에 함유된 물질이 엽록소이며 엽록소에서 빛에너지의 흡수와 동화작용 발생
'농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산물품질관리사 실기시험(2차) 후기 (0) | 2022.07.17 |
---|---|
수확 후 품질관리(선별, 예냉, 포장) (0) | 2022.07.15 |
농산물품질관리사 2차실기 대비: 시험예상 작물의 농산물등급규격(고르기, 중결점, 경결점) (0) | 2022.07.10 |
농산물품질관리사 2차실기 대비: 농산물품질관리법(표준규격품~지리적표시 등록제도) (0) | 2022.07.10 |
농산물품질관리사 2차실기 대비: 농산물품질관리법(안전성관리~농산물검사, 농품사 직무) (0) | 202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