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성장주에서 10월 개편으로 참고할 ETF 를 선정했다.
ETF 는 지난 한달간 한번도 매수종목선정을 하지 않았던 카테고리를 다른 카테고리로 교체한다.
9월에는 매수종목 배출을 하지못한 카테고리가 없었다. 이런 경우 10월에는 9월에 투자했던 카테고리에 1개 이상 카테고리를 추가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시장이 매우 좋지 않고 앞으로도 좋아질 가능성이 무척 적으므로 10월에는 카테고리 변동 없이 9월에 투자했던 4개 카테고리 그대로 가기로 했다.
ETF 선정시에는 inception date, volume(3 month), region(north america) 를 기준으로하여 해당 ETF 가 2020년 코로나 증시폭락 사태를 겪고 살아남았을 것(inception date), 투자지역이 미국인것(region) 을 기준으로 한 카테고리 당 6개 이하를 선정했다. 기존에는 해당 ETF 의 수익률이 + 일 것이라는 조건이 있었는데 현재 수익률이 +이면서 위 조건을 만족하는 ETF 들은 몇개 없다.
농식품 등 일부 카테고리는 투자지역을 미국으로 한정할 경우 카테고리당 5개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투자지역 요건을 무시하고 음료를 포함할 경우 농식품음료 관련 ETF 로 4개가 나타나 이 4개를 선정했다.

이 외에 종목평가와 매도방식에서는 지난 9월과 완전히 동일한 기준을 적용했다.
10월에 참고하는 ETF 는 9월과 비교하여 아주 약간의 변동이 있다.
현재 22년 10월 테마별 ETF 는
1) 농식품음료 - MOO, VEGI, PBJ, FTXG;변화없음
2) 전통에너지 - XLE, XOP, IYE, FCG, FENY; VDE 제거
3) 사이버보안 - CIBR, BUG, HACK, IHAK; 변화없음
4) 친환경(재생에너지+물) - PBW, QCLN, ACES, PHO, FIW; 변화없음
전통에너지 카테고리에서 종전에 6개의 ETF 를 참고하던 것을 다른 카테고리 처럼 5개로 맞추었다. 이외 매매방식은 전과 같이 종목평가 점수에 기초하며, 만점의 70% 이상인 종목이 선정된다. 만점은 평가지표의 수(6개) X 종목수 + ETF 수 로 한다. 예를들어 기본조건이상인 종목이 3개 이고 ETF 가 3개라면 라면 만점은 6X3+3=21 점이 되며 만점의 70%( 21X0.7 이상인 종목만이 최종 매수대상이 된다. 그리고 여기에 테마별 기존 보유종목을 추가해 매수종목 선정에 활용한다. 이에 더해 기술성장주 중 만점의 50% 미만인 종목은 미실현수익률 -2% 이상일경우 매도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10월 2주차 테마별 종목선정에 대해 보면 농식품음료는 1종목을 선정했다
: SQM

최종 매수기준인 매수점수 70%에 도달한 종목이 SQM 하나였다.
매도대상인 종목 중 현재 보유중인 종목은 ADM 등이 있는데 여전히 -2% 인 현재의 매도 최소기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요원하여 주가 급등이 없다면 계속 보유하도록 한다. .
전통에너지 테마에서는 1종목을 선정했다: CTRA

CTRA 는 자주 매수하고 수익실현까지 마쳤던 종목이다. 9월 미국주식 매매성과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종목이기도 하다. 이번주 다시 익절의 기회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이버보안 테마에서는 1종목을 선정했다: AKAM

이 종목은 현재 소량 보유중으로 수주째 연이어 매수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렇게 특정 종목이 계속 매수대상이 되면 향후 익절 매도시 수익금을 늘릴 수 있어 좋다. 그리고 현재의 매수종목이 계속해서 매수에 적절하다는 뜻이므로 그만큼 종목을 잘 골랐다는 안도감도 느낄 수 있다.
세계적으로 미중갈등, 러시아사태, 식량가격폭등 등 불안요소가 많아지는 가운데 사이버보안은 이제는 하나의 방산으로서 앞으로도 전도유망한 투자분야로 보고 있다.
친환경 테마에서는 3종목을 선정했다
: ON, MP, LTHM

무려 3개 매수 종목이 나타났다.
3종목 모두 현재 보유중에 있으며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MP 를 제외하고 현재 투자수익률은 + 이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기술성장주 테마에서도 ETF 발굴과 함께 더 나은 매수/매도 방식을 연구해볼 것이다.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9월 주식매매 결산(공모주, 주식매매수익 합산): 공모주 주식매매 0건, 좁혀오는 시장탈출 타이밍 (2) | 2022.10.04 |
---|---|
9월 음원저작권 수익- 크게 개선된 수익률, 22년 누적흑자 볼 수 있을까 (1) | 2022.10.04 |
9월 미국주식 투자수익 결산: 수익은 증가, 내용은 영 아니었던 위험한 매매 (0) | 2022.10.01 |
9월 5주차 기술성장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1) | 2022.09.27 |
9월 5주차 배당주 관리계획(매수, 보유, 매도 계획) (0) | 2022.09.25 |